33.
Scientists believe that the frogs’ ancestors were waterdwelling, fishlike animals. The first frogs and their relatives gained the ability to come out on land and enjoy the opportunities for food and shelter there. But the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 frog’s lungs do not work very well, and it gets part of its oxygen by breathing through its skin. But for this kind of “breathing” to work properly, the frog’s skin must stay moist. And so the frog must remain near the water where it can take a dip every now and then to keep from drying out. Frogs must also lay their eggs in water, as their fishlike ancestors did. And eggs laid in the water must develop into water creatures, if they are to survive. For frogs, metamorphosis thus provides the bridge between the waterdwelling young forms and the landdwelling adults. [3점]
*metamorphosis: 탈바꿈
① still kept many ties to the water
② had almost all the necessary organs
③ had to develop an appetite for new foods
④ often competed with landdwelling species
⑤ suffered from rapid changes in temperature
해석
과학자들은 개구리의 조상이 물에 사는, 물고기 같은 동물이었다고 믿는다. 최초의 개구리와 그들의 친척은 육지로 나와 그곳에서 먹을 것과 살 곳에 대한 기회를 누릴 수 있는 능력을 얻었다. 하지만 개구리는 여전히 물과의 여러 인연을 유지했다. 개구리의 폐는 그다지 기능을 잘하지 않고, 개구리는 피부를 통해 호흡함으로써 산소를 일부 얻는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호흡’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개구리의 피부가 촉촉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래서 개구리는 건조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이따금 몸을 잠깐 담글 수 있는 물의 근처에 있어야 한다. 물고기 같은 조상들이 그랬던 것처럼, 개구리 역시 물속에 알을 낳아야 한다. 그리고 물속에 낳은 알이 살아남으려면, 물에 사는 생물로 발달해야 한다. 따라서, 개구리에게 있어서 탈바꿈은 물에 사는 어린 형체와 육지에 사는 성체를 이어주는 다리를 제공한다.
답 ①
어휘
oxygen 산소
breathe 호흡하다
skin 피부
properly 제대로
moist 촉촉한
take a dip (몸을) 잠깐 담그다, 잠깐 수영을 하다
every now and then 이따금
dry out 건조해지다
lay (알을) 낳다
develop 발달하다, 성장하다
creature 생물
landdwelling 육지에 사는
adult 성체
'2021년 > 고1 3월 모의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고1 3월 모의고사 35번 (0) | 2021.04.17 |
---|---|
2021년 고1 3월 모의고사 34번 (0) | 2021.04.17 |
2021년 고1 3월 모의고사 32번 (0) | 2021.04.17 |
2021년 고1 3월 모의고사 31번 (0) | 2021.04.17 |
2021년 고1 3월 모의고사 30번 (0) | 2021.04.15 |
댓글